2025년 정부의 재난지원금 정책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본격 시행되며 많은 국민들이 "과연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올리브영, 다이소, 프랜차이즈 매장 등 자주 이용하는 브랜드의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해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이소
다이소도 사용 제한 많습니다.
전국 1,576개 매장 중 483개(30.64%)만 가맹점이기 때문입니다.
서울·수도권 지역 기준 단 30개 매장만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출입문에 부착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헷갈릴 땐 계산 전 직원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다이소 가맹점 찾는 법
다이소는 서울페이 앱이나 지역사랑 상품권 사이트에서 사용처에 올라와 있으면 가맹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사용가능한 다이소 매장
다이소 동부시장점
다이소 번동점
다이소 창동3호점
다이소 덕성여대점
다이소 남성역점
다이소 대신시장점
다이소 대림사거리점
다이소 구로구청점
등이 있습니다.
올리브영
올리브영은 일부 매장만 사용 가능합니다.
올리브영은 중소기업 브랜드 중심 유통채널이지만, 전국 1,379개 매장 중 단 221개 매장(16.02%)만 가맹점입니다.
특히 서울에서는 단 22개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 합니다.
즉, 대부분의 올리브영은 본사 직영 매장이므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사용 전 확인 필수!
올리브영 가맹점 찾는 법
만약 서울페이 앱이나 지역사랑 상품권 사이트에서 사용처에 올라와 있으면 가맹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서울페이 앱이나 지역사랑 상품권 사이트에서 사용처에 올라와 있으면 가맹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베이커리·레스토랑
브랜드 가맹점 | 비율 | 사용 가능 여부 |
뚜레쥬르 | 98% (1307/1323) | 거의 대부분 사용 가능 |
파리바게뜨 | 90% 이상 | 대부분 사용 가능 |
제일제면소 / VIPS / 더플레이스 | 0% (직영점) | 사용 불가 |
던킨도너츠 / 배스킨라빈스 | 90% 이상 | 대부분 사용 가능 |
햄버거 브랜드
브랜드 가맹점 | 비율 | 사용 가능 여부 |
맥도날드 | 약 15% | ⚠️ 제한적 사용 가능 |
버거킹 | 약 25% | ⚠️ 제한적 사용 가능 |
롯데리아 | 약 90% | 대부분 사용 가능 |
맘스터치 | 약 99% | 대부분 사용 가능 |
커피 전문점
브랜드 가맹점 | 비율 | 사용 가능 여부 |
스타벅스 | 0% (100% 직영) | 사용 불가 |
엔제리너스 | 약 80% | 대부분 사용 가능 |
파스쿠찌(SPC) | 약 94% | 사용 가능 |
컴포즈커피 | 100% | 전 매장 사용 가능 |
빽다방 / 메가MGC커피 | 99% | 거의 전 매장 사용 가능 |
이디야 | 95% | 거의 전 매장 사용 가능 |
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 가맹점 | 비율 | 사용 가능 여부 |
BBQ 치킨 | 97% | 대부분 사용 가능 |
교촌치킨 | 100% | 전 매장 사용 가능 |
BHC 치킨 | 99% | 대부분 사용 가능 |
주의사항
가맹점 여부가 핵심:
1. 같은 브랜드라도 직영점은 사용 불가
2. 대형마트 입점 매장 사용 불가: 예) 이마트 내 뚜레쥬르, 롯데마트 내 파리바게뜨 등
3. 연 매출 30억 원 이상 매장은 사용 불가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 여부 확인 필수
Q&A
Q1. 다이소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나요?
→ 일부 가맹점(약 30.64%)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서울·수도권은 30개 매장만 가능하므로 사전 확인 필수입니다.
Q2. 올리브영은 전 매장에서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가요?
→ 아니요. 전국 1,379개 매장 중 단 221개(16.02%)만 가맹점이므로, 대부분의 매장에서는 사용 불가합니다.
Q3. 스타벅스, 맥도날드 같은 글로벌 브랜드에서도 소비쿠폰 사용할 수 있나요?
→ 사용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스타벅스는 100% 직영이라 사용 불가, 맥도날드는 가맹점 비율이 15%로 낮아 사전 확인 필요합니다.
Q4.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한 매장은 어떻게 찾나요?
→ 서울페이 앱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 검색 사이트에서 가맹점 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매장 입구의 사용 가능 스티커도 참고하세요.
Q5. 똑같은 브랜드인데 어떤 곳은 되고 어떤 곳은 안 되는 이유는?
→ 가맹점과 직영점 차이, 지역사랑상품권 등록 여부, 연 매출 30억 원 이상 여부 등 여러 조건이 다르기 때문입니다.